본문 바로가기
생활볍률

전세계약서 양식 작성법 & 실행 가이드 (2025 최신 개정 반영)

by 절세미인쌤 2025. 10. 21.

전세계약서 양식은 세입자와 임대인의 권리·의무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 문서예요.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개정 기준에 맞춰 전세계약서를 직접 작성하고 완성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.

2025년 최신 개정 기준으로 전세계약서 작성법과 필수 항목을 정리한 대표 썸네일 이미지. 계약서 작성 시 세입자와 임대인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절차를 시각적으로 표현.
전세계약서 양식 작성법 2025 최신판 안내

전세계약서 양식 작성법 & 실행 가이드 (2025 최신 개정 반영)

전세계약서 작성, 막상 하려면 조금 막막하죠? 하지만 핵심만 딱 잡으면 생각보다 간단해요. 이 포스팅에서는 양식 준비 → 작성 → 특약 → 확정일자까지, 순서대로 따라 하기만 하면 완성할 수 있도록 구성했어요. 그럼 지금 바로 시작해볼까요? ✨



① 전세계약서 양식 기본 개념

전세계약서는 전세보증금과 임대 조건을 문서로 명확히 약속하는 계약서예요. 정해진 법적 서식은 없지만, 법무부 표준 임대차계약서를 사용하면 훨씬 안전합니다. 2023년 이후 개정된 표준계약서에는 관리비 10만 원 이상일 경우 항목별 기재 의무가 생겼어요. 👉 자세한 내용은 법무부 공식 공지를 참고하세요.

TIP: 표준 계약서는 국토교통부나 법무부 홈페이지에서 무료 다운로드 가능해요. “전세계약서 다운로드”로 검색하면 최신 PDF를 바로 받을 수 있습니다.

② 기본 양식 항목 구성

전세계약서에는 다음 항목들이 꼭 포함되어야 합니다.

  • 임대인·임차인 인적사항 (이름, 주소, 연락처, 주민등록번호)
  • 임대 목적물 정보 (주소, 면적, 구조 등)
  • 보증금 및 지급 일정 (계약금, 중도금, 잔금)
  • 임대차 기간 (시작일~종료일)
  • 관리비 및 부담 기준
  • 수리·보수 책임 범위
  • 위약금 및 해제 조건
  • 특약 조항
  • 서명 및 간인
✏️ TIP: 미리 항목별로 메모를 작성해두면 작성 속도가 훨씬 빨라요!

③ 작성 단계별 실행 가이드

전세계약서 작성 시 필수 확인 단계(계약 정보 점검, 양식 작성, 특약 협의, 서명 및 간인 처리)를 단계별로 정리한 인포그래픽.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실전 가이드.
전세계약서 작성 단계별 실행 가이드

■ 1단계: 계약 정보 사전 점검

계약 전에는 반드시 등기부등본과 건축물대장을 확인하세요. 이 단계에서 소유자·주소·면적이 일치하지 않으면 추후 분쟁이 생길 수 있어요.

■ 2단계: 전세계약서 기본 양식 채우기

금액은 ‘금 원정 (₩ )’으로, 기간은 ‘년 월 일 ~ 년 월 일’ 형식으로 작성해야 해요. 빈칸은 절대 비워두지 말고 ‘/’ 표시로 채워야 위조를 막을 수 있습니다. 

■ 3단계: 특약 및 조건 합의

특약은 작은 문장 하나가 큰 분쟁을 막아줘요. 예를 들어, 반려동물 허용 여부나 조기퇴실 위약금, 수리 책임 등은 명확히 문서에 남기세요.

■ 4단계: 서명 및 간인 처리

모든 내용이 확정되면 마지막 장 하단에 서명 또는 도장을 찍으세요. 계약서가 여러 장이라면 반드시 간인을 찍어야 법적 효력이 완전해요.

💡 참고: 전월세 계약 전, 세입자가 꼭 알아야 할 법률도 함께 확인해두세요.
👉 전월세 계약 세입자 필수 법률 보기

④ 특약 및 주의 조항

전세계약서에 반드시 포함해야 할 주요 특약 조항(임대료 인상률, 실거주 증빙, 재건축 조항, 전대금지 등)을 2025년 개정 기준으로 정리한 실전형 인포그래픽.
전세계약서 특약 및 주의 조항 정리 인포그래픽

특약을 쓸 때는 다음 사항들을 꼭 유의하세요 👇

항목 주의 내용
임대료 인상률 주택임대차보호법 기준 연 5% 초과 시 무효
실거주 조항 임대인의 실거주 목적은 증빙이 가능해야 함
재건축 조항 예정 시점 명시 필요
전대금지 임차인의 재임대 금지를 명확히 명시
⚠️ 주의: 말로 한 약속은 법적 효력이 약해요. 반드시 문서로 남기세요.

⑤ 확정일자 & 임대차 신고

계약이 끝났다고 안심하면 안 돼요! 마지막으로 확정일자를 받아야 보증금 보호가 완성됩니다. 주민센터, 은행, 또는 임대차 신고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가능해요.

핵심 포인트: 확정일자가 있어야 보증금 우선변제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신고 후 계약서 사본을 꼭 보관하세요.

⑥ FAQ

Q1. 표준계약서를 꼭 써야 하나요?
A: 아니요. 필수는 아니지만 표준양식을 쓰면 항목 누락을 막고 분쟁을 예방할 수 있어요.

Q2. 계약서 빈칸은 남겨도 되나요?
A: 안 돼요. 반드시 ‘/’로 채워야 해요. 위·변조 방지용이에요.

Q3. 확정일자는 언제 받아야 하나요?
A: 잔금 지급일과 동시에 받는 게 가장 안전해요.

Q4. 전세계약서 파일은 어디서 구하나요?
A: 법무부, 국토교통부, 법제처 등에서 무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.

Q5. 계약서가 여러 장이면?
A: 각 장에 간인을 찍어야 법적 효력이 완전합니다.


⑦ 요약 및 체크리스트

이제 직접 작성할 차례예요! 아래 체크리스트를 꼭 확인해보세요 ✅

  • 임대인·임차인 정보 정확히 입력
  • 주소·면적 명확히 기입
  • 보증금·기간·관리비 누락 없음
  • 특약 조항 구체적으로 작성
  • 빈칸 ‘/’ 처리 및 간인 완료
  • 확정일자 수령 및 임대차 신고 완료
📄 지금 바로 실행하세요!
법무부 표준양식 PDF를 다운로드한 뒤, 이 가이드와 함께 작성하면 2025 최신 개정 기준에 맞는 완벽한 전세계약서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.

⑧ 출처 및 참고자료

함께 읽으면 유익한 포스팅

전월세 신고제 유예기간 종료 및 2025년 시행 대응 가이드

 

전월세 신고제 유예기간 종료 및 2025년 시행 대응 가이드

전월세 신고제의 과태료 유예기간이 종료되고, 2025년 6월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갔어요. 이제는 신고를 미루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제도 개요, 유예기간 연장 배경, 그리

news.o-journey.kr

전월세 신고제 과태료, 신고 안 하면 얼마? 2025년 최신 해결 가이드

 

전월세 신고제 과태료, 신고 안 하면 얼마? 2025년 최신 해결 가이드

2025년 6월부터 전월세 신고제 과태료가 본격 시행되었어요. 신고를 깜빡하거나, 지연·허위 신고하면 생각보다 큰 금액의 과태료를 내야 할 수 있답니다. 오늘은 그 기준과 신고 방법, 그리고 실

news.o-journey.kr

전월세 신고제 유예기간 종료 & 계도기간 연장 총정리 (2025 기준)

 

전월세 신고제 유예기간 종료 & 계도기간 연장 총정리 (2025 기준)

2025년 6월부터 전월세 신고제 유예기간이 종료됩니다. 신고 범위, 과태료 기준, 신고 방법 등 최신 정보를 한눈에 정리했어요.전월세 신고제 유예기간 종료 & 계도기간 연장 총정리 (2025 기준)목

news.o-journey.kr

전월세 신고제 제외대상 체크리스트 (2025 최신판 기준)

 

전월세 신고제 제외대상 체크리스트 (2025 최신판 기준)

2025년 기준으로 전월세 신고제 제외 대상을 깔끔하게 정리했어요. 이 글을 보면 내 전월세 계약이 신고 대상인지 아닌지 바로 판단할 수 있을 거예요 😊전월세 신고제 제외대상 체크리스트 (2025

news.o-journey.kr